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국립진주박물관 상설전시

두암 김용두 선생의 기증 문화재 전시 공간 두암실

두암실은 경남 사천 출신의 재일교포 사업가
두암 김용두(1922~2003) 선생이 기증한 문화재를 전시하는 공간입니다.
선생은 일본에 유출된 우리 문화재를 수집하여 국립진주박물관에 190점을 기증하였습니다.
문화재 환수와 기증의 숭고한 의미를 되새겨 볼 수 있습니다.

김용두 선생

고故 두암 김용두 선생은 혼란한 시기에 일본으로 유출된 우리 문화재를 고국으로 돌려보내야 한다는 고귀한 뜻을 담아 고향인 사천과 가까운 국립진주박물관에 1997, 2000, 2001년 세 차례에 걸쳐 기증하셨습니다.

평생 모은 문화재를 기증하면서 ‘기증한 나도 기쁘지만, 수십수백 년 동안 떠돌다가 고국으로 돌아가게 된 이 문화재들은 얼마나 감격이 크겠는가?’ 라고 남긴 말씀에서 두암 선생의 고국과 우리 문화재에 대한 사랑을 엿볼 수 있습니다.

두암 선생이 수집한 문화재는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는 토기, 도자기, 회화, 글씨, 공예품 등 시기가 광범위하고 종류도 다양합니다. 특히, 한국 미술사의 흐름을 연구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는 명품들이 포함되어 있어 주목됩니다.

두암 주요 기증유물

두암 김용두(1922~2003) 선생이 기증한 190점의 유물 중 몇 가지 유물을 둘러보도록 하겠습니다.
박물관에 방문하시면 더 많은 유물을 자세히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소상팔경도 瀟湘八景圖
옛 사람들이 꿈꾼 산수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필자미상
조선 16세기 전반
보물

조선 초에 유행한 소상팔경도의 전형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소상팔경도란 중국 후난성湖南省 둥팅호洞庭湖 남쪽 샤오수瀟水와 샹강湘江이 합류하는 지역의 빼어난 경관을 그린 여덟 그림을 말한다.

여덟 폭의 그림이 두 폭씩 마주보는 구도로 좌우에 한쪽으로 치우친 산이나 절벽이 무게 중심을 이루고 있다. 봄을 표현한 산시청람으로 시작해서 연사모종, 어촌석조, 원포귀범, 소상야우, 동정추월, 평사낙안, 그리고 겨울 장면인 강천모설로 끝난다. 모든 주제를 갖춘 원형의 작품이면서, 16세기 전형적인 안견파 화풍을 보여 회화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아래 작품을 마우스로 클릭시 큰 이미지와 함께 상세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정조어필칠언율시 正祖御筆七言律詩
정조대왕 친필 칠언율시
POEM
정조(1752~1800)
1791년 작
보물

정조는 조선 제22대 임금으로 25년 간(1776~1800) 재위在位하며 커다란 문화적 업적을 남겼다.
이 시는 1791년 2월 정민시鄭民始(1745~1800)가 전라도 관찰사로 부임赴任할 때 손수 짓고 써서 준 것으로 왕의 자상한 마음을 담고 있다.

정조어필칠언율시
정조어필칠언율시
정조어필 시문해석

欵欵離筵酒屢巡 정성스레 마련한 연회 여러 차례 이별의 술잔 오가고

送君明日出銅津 내일에는 그대 전송하러 동작진 나루터로 나가겠지

卽今盤錯須民部 복잡한 일이야 여럿이지만 지금은 오직 백성을 보살펴야하니

從古旬宣仗近臣 예부터 지방 순시의 임무는 가까운 신하에게 맡겨왔다네

裘帶爭瞻新刺史 관복입고 부임한 새 관찰사 알현하러 사람들이 몰려오겠지

起居無恙大夫人 그대 모친 사시는데도 불편함 없어야 할 텐데 ……

樓名拱北良非偶 누대의 이름이 ‘공북문’ 임은 그저 우연이 아닐지니

幾夜登樓望北宸 밤마다 누대에 올라 북쪽 대궐을 바라보겠지

辛亥仲春一日 1791년 2월 1일

贐靜窩出按湖南 전라도 관찰사로 떠나는 정와(정민시)를 전별하며

초충영모어해산수첩 草蟲翎毛魚蟹山水帖
풀·벌레·새·짐승·물고기·게·산수를 그린 그림첩
MISCELLANEOUS SUBJECTS
김익주
1850년 작

김익주는 18세기 말에 태어나 19세기에 활약한 화가이다. 오세창(1864~1953)은 「근역서화집」에서 김익주를 산수山水에 뛰어났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 산수첩은 현재 낱장들로 전하는데 초충 4점, 영모 4점, 어해 2점, 산수 1점 등 다양한 소재를 다루고 있다. 이중 매화나무 가지에서 잠자는 새그림(梅上宿鳥)에 있는 묵서墨書로 1850년에 그려진 것임을 알 수 있다.

  • 초충영모어해산수첩1
    초충영모어해산수첩 매화나무 가지에서 잠자는 새 그림

    매화나무 위에 앉아 잠든 새의 모습을 세밀하게 묘사하고 있다. 그림 좌측에 ‘경술년(1850년) 9월 하순에 경암鏡巖(김익주의 호)이 그리다’ [歲白狗暮秋下澣 鏡巖寫]라는 글이 적혀있다.

  • 초충영모어해산수첩2
    초충영모어해산수첩 대나무 위를 나는 새 그림

    대나무 가지 위를 날고 있는 새의 모습을 역동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대나무 잎사귀는 초록 염료로 푸르게 나타내었고, 하늘로 날개 짓을 하고 있는 새는 검은 묵을 사용해 표현하였다.

  • 초충영모어해산수첩3
    초충영모어해산수첩 폭포가 있는 강산의 풍경 그림

    험준한 산과 바위틈새 왼편으로 폭포가 흘러내린다. 폭포 아래 외나무 다리를 건너면 버들잎이 뻗어있는 산 끝자락에 작은 집이 숨어있다. 굵은 먹선으로 산과 바위를 표현하였고, 유유히 흐르는 강물을 명암으로 처리하였다.

  • 초충영모어해산수첩4
    초충영모어해산수첩 호랑이 그림

    화폭 위쪽에 드리워진 소나무 아래에 호랑이가 측면으로 서 있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호랑이 털은 엷은 실선으로 세밀하게 표현하고 있어 생동감을 더하고 있다.

  • 초충영모어해산수첩5
    초충영모어해산수첩 숲 속의 산양 그림

    그림의 오른쪽 드리워진 나무 아래로 어미 젖을 먹고 있는 아기 산양의 모습과 그 앞에 뿔을 숙이고 있는 숫산양을 그리고 있다. 산양의 얼룩무늬를 묵의 번짐 효과로 나타내었고, 털은 엷은 실선으로 세밀하게 표현하고 있다.

  • 초충영모어해산수첩6
    초충영모어해산수첩 꽃 넝쿨과 나비, 벌

    화면 오른쪽 하단에서 꽃가지 넝쿨이 뻗어져 나오고 그 주위에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나비와 벌들이 표현되어 있다. 화면 상단에 갈색 빛을 띠는 나비는 아래에서 바라본 나비 모습이다.

  • 초충영모어해산수첩7
    초충영모어해산수첩 산나리 꽃과 나비, 벌, 메뚜기

    화면 왼쪽 하단 모서리에서 산나리 꽃과 줄기가 뻗어 나오고 있다. 중앙의 활짝 핀 산나리 꽃 주위로는 나비와 벌이 날아다니고 있다. 꽃 아래에는 메뚜기과 곤충 두 마리가 서로 마주하고 있는 모습을 묘사하였다.

  • 초충영모어해산수첩8
    초충영모어해산수첩 국화와 메뚜기, 사마귀

    화면 오른쪽 하단 모서리에서 국화와 줄기가 뻗어 나오고 그 사이로 메뚜기과의 곤충들과 사마귀가 있다. 꽃과 곤충들의 모습에서 가을의 정취가 느껴진다.

  • 초충영모어해산수첩9
    초충영모어해산수첩 국화와 방아깨비

    화면 왼쪽에서 중앙으로 노란빛과 붉은빛의 국화와 줄기가 배치되어 있다. 오른쪽 상단에는 한 마리의 방아깨비가 날아가고, 하단에는 방아깨비 두 마리가 서로 마주보고 있다.

  • 초충영모어해산수첩10
    초충영모어해산수첩 물고기와 새우

    물고기가 오른쪽에 있는 물풀을 향해 가고 있고, 오른쪽 하단에는 새우가 왼쪽을 향해 가고 있는 물 속 풍경을 묘사하고 있다.

  • 초충영모어해산수첩11
    초충영모어해산수첩 물고기와 게

    헤엄치는 메기와 걸어가고 있는 게의 모습이 표현되었다. 화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물풀이 뻗어 있고, 그 위에는 작은 물고기가 유유히 헤엄치고 있다.

  • 청자양각연판문탁잔
    청자양각연판문탁잔 靑磁陽刻蓮瓣文托盞
    연꽃무늬 잔과 잔받침
    CUP AND STAND, Celadon with raised overlapping lotus petals design
    고려 11세기

    탁잔은 잔과 잔받침을 말하며, 잔에는 펼쳐 놓은 연꽃무늬가 도드라지게 표현되어 있다. 잔받침은 잔의 굽이 들어가도록 제작되어 있으며, 그 주위는 선으로 장식하였다. 잔받침의 가장자리 네 군데를 눌러 꽃잎모양으로 만들었으며, 잔 받침대 중앙에 구멍이 뚫려있는 것이 특징이다.

  • 분청사기조화어문편병
    분청사기조화어문편병 粉靑沙器彫花魚文扁甁
    물고기무늬 납작병
    FLATTENED BOTTLE, Buncheong with incised brushed white slip fish design
    조선 15~16세기

    풍만한 몸체의 양면을 두들겨 편평하게 만든 편병이다. 아랫부분을 제외한 전면全面 을 두껍게 분장粉粧하였으며, 앞쪽에는 물고기를 중심으로 주위에 물풀무늬(水草文)를 배치하여 연못 풍경을 표현하고, 뒤쪽에는 모란무늬(牡丹文)로 장식하였다. 굽은 낮고 폭이 좁아 전체적으로 단정한 분위기를 보여준다.

  • 백자철화죽문죽절형병
    백자철화죽문죽절형병 白磁鐵畫竹文竹節形甁
    대나무무늬 대나무모양 병
    BAMBOO-SHAPED BOTTLE, White porcelain with underglaze iron-painted bamboo design
    조선 17~18세기

    긴 원통형의 병은 조선시대 후기에 많이 만들어졌으나, 몸체를 다시 대나무 마디 모양으로 깎은 것은 희귀한 예이다. 또한 아래에서부터 시작한 대나무 그림이 어깨까지 걸쳐 있어 운치를 더한다. 대나무는 철화기법으로 표현하였다.

  • 청동금은입사향완
    청동금은입사향완 靑銅金銀入絲香垸
    금은으로 장식한 청동향로
    INCENSE BURNER, Bronze with gold and silver inlay
    고려 13세기

    사찰寺刹에서 사용하는 불기佛器 가운데 특히, 입 부분에 납작한 부분(전)이 달려있고 나팔형의 다리가 붙어 있는 향로香爐를 향완이라 한다. 문양으로는 범자梵字, 넝쿨무늬(唐草文), 연꽃잎무늬(蓮瓣文), 여의두무늬(如意頭文)와 함께 풀, 꽃 등이 새겨져 있다. 몸체뿐만 아니라 받침 부위에도 금은입사金銀入絲로 무늬를 빈틈없이 배치하여 화려함을 더한다.

  • 은입사연초합
    은입사연초합 銀入絲煙草盒
    은입사 담배합
    CASE OF LEAF TOBACCO, Bronze with silver inlay
    조선 18~19세기

    연초합, 즉 담배합은 담뱃잎을 썬 살담배를 넣어 두는 서랍으로 상류층에서 사용하던 것이다. 대개 시우쇠(鏈鐵)로 만들고 겉에는 은입사를 하였으며, 서랍에는 놋쇠로 된 손잡이가 달려 있다. 윗면 중앙에는 쌍희자문雙囍字文, 가장자리에는 ‘만卍’자문이 둘려져 있으며, 그 사이에는 번개무늬(雷文)를 새겼다. 측면에는 풀꽃무늬(草花文)를 중심으로 거북등무늬(龜甲文)가 새겨져 있다.

  • 나전어문침선함
    나전어문침선함 螺鈿魚文針線函
    나전 물고기무늬 반짇고리
    TRAY-TABLE, Black-lacquered wood with mother-of-pearl inlay
    조선 18~19세기

    반짇고리는 가위, 골무, 바늘, 실, 천조각 등의 바느질용품을 담아 두는 그릇을 말한다. 대부분은 종이로 만든 지함이나 고리버들을 사용하였으나, 상류층에서는 화각함華角函이나 나전함을 사용하였다. 옆면에는 ‘수壽’자문을 배치하고, 내부에는 구름과 학, 과일나무, 대나무, 매화나무, 물고기와 거북 등 상서로움과 복운을 기원하는 문양이 가득 장식되어 있다.

  • 목조업경대
    목조업경대 木造業鏡臺
    죽은 사람의 업을 보여주는 거울
    BUDDHIST ALTAR WITH FLOWER DECORATION, Wood
    조선 19세기

    업경은 불교에서 죽은 사람의 업을 보여준다는 거울이다. 이 업경대는 사찰의 법당을 꾸미는 장엄구로, 전체적인 모습이 신령스러운 거북이가 연꽃을 싣고 가는 모습을 하고 있다. 연꽃 줄기에는 물새, 물고기, 개구리 등이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맨 위에는 만개된 연꽃을 조각하고, 먹으로 동자와 누워 있는 소를 그렸다.

문화재 기증현황

1984년 개관 이후 지금까지 50여명 3,400여점 문화재 기증

최초 문화재 기증자

1984년 박물관 개관 당시 최규진 선생이 11점을 기증하였다.
이 중 도기 바퀴장식 뿔잔은(보물 제 637호) 진주 1번으로 등록되어 국립진주박물관을 대표하는 소장품이다.

최다 문화재 기증자

2006년 박낙곤 선생이 1,393점 기증하였다.
임진왜란 당시 의병을 일으킨 박진영 장군과 밀양박씨 영동정공파 집안의 문화재이다.
고문서가 대부분으로 왕명 관련 문서, 임명장류, 호적 문서 등이 있으며, 14미터에 달하는 화회문기도 있다.

조선시대 인쇄문화 자료 기증자

2003, 2004년 심재온 선생은 조선 후기 목활자 및 고서적 729점을 기증하였다.
청송 심씨 문중 소장의 활자 용구와 서적으로, 조선후기 지방의 유학자들이 활발하게 개인 문집을 간행하였음을 보여주는 문화재이다.
조선시대 인쇄문화에 대한 자료를 확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