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평과 애정의 연대, 형평운동
- 저자국립진주박물관
- 발행기관국립진주박물관
- 발행연도2023년 10월 31일
- 사이즈29 cm
- 종류특별전시도록
- 페이지수199 p.
- 가격28,000원
상세내용
[목차]
인사말
프롤로그
Ⅰ. 조선·대한제국기 백정의 사회적 지위와 삶
1. 조선시대 백정의 삶
2. 호적대장 속 백정의 모습
3. 갑오개혁 이후 백정의 법제적 지위 변화와 백정의 실제 삶
Ⅱ. 형평운동과 1920~1930년대 백정의 인권
1. 형평사의 창립
2. 형평운동을 둘러싼 사회적 논쟁
3. 형평운동의 전국적 확산과 발전
Ⅲ. 광복 이후 되살아나는 형평운동의 기억: 문학 및 학술, 인권운동
1. 강상호의 장례와 형평운동에 대한 기억
2. 형평운동과 문학 및 학술 활동
3. 형평운동에 대한 기억 되살리기: 형평운동기념사업회의 창립과 활동
Ⅳ. 형평운동의 유산과 계승: 인권과 연대의 합창
1. 연극·마당극
2. 설치미술
3. 판화·그림·서예
에필로그
논고
부록
[도록소개]
1923년 진주에서 시작된 형평운동은 사람의 권리, 존엄성, 그리 고 평등이라는 인류 보편의 가치를 위한 외침이었습니다.
갑오개혁으로 백정에 대한 법적인 차별이 없어졌다고는 하지만 신분사회의 오랜 차별은 쉽사리 사라지지 않았습니다.
관행으로 굳어진 차별은 그들에 대한 폭력이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차별의 철폐를 요구하는 목소리를 모아야 했던 이유였습니다.
“공평은 사회의 근본이요, 애정은 인류의 본량이다.” 라는 그들의 외침은 오늘날에도 빛이 바래지 않습니다.
어느 시대의 어느 사회든 불평등과 차별의 문제를 함께 해결해 나가야 하기 때문입 니다.
백 년 전 우리의 선각자들의 숭고한 뜻과 실천이 우리 사회를 좀 더 좋은 곳으로 만드는 데 등불이 될 줄 믿습니다.
국립진주 박물관이 마련한 이번 전시가 그들을 다시 기억하고 그들의 활동을 재조명하는 데 조그만 보탬이 되면 기쁘겠습니다.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 표시
공공누리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공공누리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